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nd story
between pages
diary
with others
film
my work
T.P
office
feminism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23. 4. 11. 18:39

청소년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성장 드라마를 좋아한다. '성장' 이라는 코드는 미래를 전제로 기능하기 때문에 주인공이 암울하고 불안한 현재의 상황에 '지지 않게' 해 준다. 그래서 대부분의 성장드라마는 해피앤딩으로 끝난다. 어려움을 겪는 주인공을 응원하다 보면, 어느 순간 그 응원이 나 자신을 위한 것이 될 때도 있다. 성장은 청소년의 전유물이 아니고, 인생의 해피엔딩은 누구나 바라는 것이므로 성장 소설이나 성장 드라마의 주 소비자가 청소년으로 국한될 필요는 없다.

<꼬리와 파도>의 마지막 장면이 좋았다. 세상에 지지 않는 아이들, 안전하고 믿을만한 어른으로 성장한 그들이 함께 있는 장면이 평화롭게 느껴졌다. 그 평화를 얻기까지 그들이 보낸 시간의 기록을 힘들게 읽었기 때문에 마지막 장면에서는 저절로 미소가 지어졌다.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이 작품에서도 학교는 안전한 공간이 아니며, 어떤 교사는 학생들에게 가해자로 등장한다.  학교에서 일어나는 여러 형태의 폭력을 고발하고 바로 잡기 위해 애쓰는 것은 소위 말하는 교육 당국이 아니고 학생들이다. 반은 희망적으로 또 반은 절망하며 읽었다. 학교 폭력과 부조리한 교사들의 행태를 바로 잡는 책임이 학생들에게 있나? 정령 학생들 스스로 나서야 하나? 학교-교육청-그 위에 교육부나 정부로 이어지는 견고한 교육 관료적 시스템은 개별 학생이 겪는 고통을 하나의 '사건'이나 '문제'로 접근하고 해결하려 한다. 아니, '문제'나 '사건'이 커지기 전에는 무마시키려고 한다. 이런 사정을 너무도 잘 알고 있는 무경과 현정과 서연과 예찬은 '꼬리'로 '파도'를 일으키지만 냉정하게 말하면 현실에서 이런 일은 쉽게 일어나지 않는다. 상처입고 주저앉은 아이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기 까지는 지난하고 힘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인 무경의 존재는 주변 인물에게 조용하게 파장을 일으키고 친구들이 저마다의 힘든 상황에 주저앉지 않고 한 걸음을 내딛는 용기를 준다. 그것은 무경이 어른의 권위에 휘둘리지 않는 존재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무경과 같은 학생 청소년이 흔치 않다는 점을 생각하면 다분히 작가의 의도가 아니었을지 생각하게 된다.

분명한 건, '꼬리'로 '파도'를 일으킨 아이들의 경험은 그 어떤 것으로도 훼손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이것이 그들의 미래를 낙관할 수 있는 근거이다. 성장 드라마는 이래야 하는 것이다. 어쩔 수 없이 성장 드라마에는 판타지가 가미된다. 냉혹한 현실에서 비전을 찾을 수 없을 때에는 미래라는 환상에  기대서라도 앞으로 나가는 것이 한 방법일 수 있다.

다시 현실로 돌아와서, 학교가 이런 경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 이런 경험을 지지하는 최아라 같은 교사가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기억하고 싶은 문장 :

나도 처음엔 오해했던 것 같아. 아픈 사연이 있는 애니까 약할 거라고, 줄곧 무너져 있을 애라고 생각했거든. 그런데 아니었어. 필요한 건 아파할 시간이었던 같아. 지선이는 그 시간을 어떻게든 보냈어./201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