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nd story
between pages
diary
with others
film
my work
T.P
office
feminism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19. 7. 22. 09:02

나는 절실한 상처의 기록을 읽기 좋아한다. 인간의 마음을 찍는 사진이 있다면 그 사진에는 선인장처럼 온통 가시가 박혀 있는 마음의 형상이 찍혀 있을 것이다.(...) 작가는 누구에게서나 상처를 찾아낼 수 있는 사람이다. 그는 원효나 퇴계, 아리스토텔레스나 하이데거의 책을 읽으면서도 거기서 그들의 상처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상처가 영혼의 본질이라 하더라도 문학이 상처의 기록에 그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작품에는 상처를 달래는 지혜의 소중함과 어려움이 암시되어 있어야 한다.(...) 생명을 죽이지 않고 살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남을 다치게 하지 않고 살 수 있는 길도 인간에게는 주어져 있지 않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일은 나와 남의 다친 영혼을 달래는 길뿐이다.

* 신형철이 <슬픔을 공부하는 슬픔>에서 통째로 외우고 싶다며 인용한, 문학평론가 김인환 선생의 글 <의미의 위기> 에 나오는 구절

 

신형철의 글은 단정하고, 깔끔하다. 이 사람이 얼마나 정직하고 경건하게 글을 쓰는지가 글에서 고스란히 느껴진다. 지금처럼 책을 현실 도피의 방편으로 읽지 않고, 순수한 공부를 목적으로 읽을 수 있을 때 다시 만나고 싶은 작가이다. <정확한 사랑의 실험>을 읽다가 집중도 안되고, 그래서 답답해서 덮어 두었는데 후일 꼼꼼하게 다시 읽기를 약속해 본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