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2nd story
between pages
diary
with others
film
my work
T.P
office
feminism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20. 11. 10. 22:10

이 책을 오랫동안 책상 위에 두었었다. 나도 은유처럼 글쓰기 강좌를 열고 싶은 마음이 있다. 나름의 커리큘럼이 있고, 계획도 있다. 퇴직하면 해야지, 현실의 장벽인지 핑계인지 모를 이유를 들어 지연시키고 있다. <글쓰기의 최전선>은 거의 모든 면에서 동의가 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었고 그런 면에서 딱, 기대한 만큼이었다. 단, 여럿이 함께 글쓰는 일에 대한 체험의 부재-결정적으로 나에게는 이것이 없다. 은유처럼 부딪치며 체험해서 얻은 결과물과 사유만을 통해서 생각한 내용은 모든 면에서 같다고 해도 가장 중요한 면에서는 다를 것이다.

나는 사람들의 개별적 체험을 어떤 태도로 받아들여야 하는지 잘 모른다. 은유가 좋아하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사람들이 글로 풀어내는 체험에 감응이 될런지도 잘 모르겠다. 평가와 비판이 불쑥불쑥 튀어나올지도 모를 일이다. 이 모든 것은 물론 경험을 통해 흔들리고 자리를 잡아가게 될 것이지만, 어디서 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 실행력이 문제다.

또 하나, 이 책을 읽고 잠자고 있던 인터뷰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났다. 논문 형식으로 쓰고 싶다는 생각을 오래 전에 하긴 했는데, 지금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시작하는 것도 좋겠다 싶었다. 은유가 '나만의 민중 자서전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것 처럼 나도 주변의 인물들을 인터뷰하고 싶다. 인터뷰에 대한 관심 때문인지 그와 관련된 문장이 눈에 들어왔다.

인터뷰이가 될 수 있는 사람과 못되는 사람의 구분은 자기표현 능력이 아니었다. 사회적 관계의 여부다. 보이는 존재인가, 보이지 않는 존재인가. 관계의 끈이 없으면 자기를 규정할 수도 없고 존재가 드러날 수도 없다. 백 세 어른신에게 반찬봉사를 다니던 한 사람이 어르신의 누워있는 등을 보고 삶을 읽내고 번역했듯이 나를 가만히 응시하며 보아줄 사람이 있어야 한다. 사람들을 만날 때마다 느낀다. 가장 큰 빈곤은 관계의 빈곤이다. 관계가 줄어들면 자아도 쪼그라들고 관계가 끊어지면 자아도 사라진다.(205).

지나치게 관계에 의존해서 '자아'를 규정하는 부분은 마음에 들지도 않고, 다 맞는다고 할 수도 없으나 인터뷰에 국한해서 볼 때는 고개가 끄덕여지는 측면이 있다.

그 밖에...

나는 늘 궁금했다. 왜 무엇이 한 사람을 그 자리에 데려다놓았을까. 그 사람은 왜 지금 거기에 있을까...(중략)....문제의식이란 거창하지도 까다롭지도 않다. 사람들이 눈여겨보지 않는 것에 대한 관심이다.(137).

인터뷰에 관한 주제는 아니었지만, 이또한 인터뷰에 필요한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나의 경험의 의미는 미리 주어지지 않는다. 글 쓰는 과정에서 만들어 가는 것이다.(159).

백퍼센트 공감하는 내용이다. 내가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글쓰기의 최전선>, 은유, 메멘토, 2015.

prev"" #1 next